본문 바로가기
닫기

"JavaScript"의 검색 결과

필터

  • JavaScript 스터디

    24

    velog.io

    JavaScript 스터디

    1.2 콜백함수 특징
    Once we are READY to actually call the callback, we can access to an argument called 'callback'.
    콜백함수는 함수가 작동될 준비가 됐을 때 작동하는 함수다.
    We have to fake the first argument setting an equal to und

    yuli_kim

  • JavaScript 필수개념

    17

    velog.io

    JavaScript 필수개념

    메서드와 'this'
    사용자는 현실에서 장바구니에서 물건 선택하기, 로그인하기, 로그아웃하기 등의 행동을 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를 나타내는 객체 user도 특정한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선 객체의 프로퍼티에 함수를 할당해 객체에게 행동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줍니다.

    메서드 만들기
    객체 user에게 인사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해

    yuli_kim

  • JavaScript 정리 모음집

    15

    velog.io

    JavaScript 정리 모음집

    var, let, const에 대한 정리
    1. var
    자바스크립트 es5 버전까지의 변수 선언 방식이었다.

    var 키워드는 생략 가능하다.

    yuli_kim

  • Javascript 파해치자!💁‍♂️

    22

    velog.io

    Javascript 파해치자!💁‍♂️

    ※ 컴퓨터는 위 식을 어떻게 계산할까❓💁‍♂️
    자바스크립트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위 코드를 우선 실행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이 코드를 계산(평가)하려면
    1) 먼저 10, 20, +라는 기호(리터럴과 연산자)의 의미를 알아야하고
    2) 10+20이라는 표현식의 의미도 알아야한다.
    3) 그리고 이것을 해석(파싱)할 수도 있어야한다.
    또한

    yuli_kim

  • PWA(Progressive Web App)란 무엇인가?

    velog.io

    PWA(Progressive Web App)란 무엇인가?

    본 포스팅은 아래 링크의 만들면서 배우는 프로그레시브 웹 앱 책을 보며 공부한 내용을 스스로 정리한 것 입니다.

    도봉도봉

  • NodeJS 노드 개념정리 시리즈

    22

    velog.io

    NodeJS 노드 개념정리 시리즈

    NodeJS ?
    : JavaScript를 실행시키는 런타임 환경 /
    NodeJS 전에는 JS 런타임이 Browser밖에 없었다
    -> NodeJS의 등장으로 JS의 사용범위가 Backend까지 확장!

    프로그래밍 언어 / 프레임워크가 아니다!!
    Single-Thread 기반
    비동기 방식
    이벤트 기반
    NodeJS !== Backend
    : Backen

    yuli_kim

  •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boostcourse.org

    웹 프로그래밍(풀스택)

    부스트코스 무료 강의
    HTML, CSS, Javascript, Java Spring MVC, Java spring,, Spring JDBC, SQL

    도봉도봉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시작하기

    18

    velog.i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시작하기

    1. 자바스크립트의 정의
    자바스크립트로 작성한 프로그램을 스크립트(script)라고 부릅니다.
    스크립트는 웹페이지의 HTML 안에 작성할 수 있는데,
    웹페이지를 불러올 때 스크립트가 자동으로 실행됩니다.
    스크립트는 특별한 준비나 컴파일 없이 보통의 문자 형태로 작성할 수 있고,
    실행도 할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는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서버에서도 실행할 수

    yuli_kim

  •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21

    velog.io

    JavaScript 자바스크립트

    DOM을 적극 활용해야 하는 javascript card-quiz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맞닥뜨린 문제 중 하나는
    코드가 너무나 길어진다는 것이었다...
    작성자인 나는 기억을 더듬어 내 의도를 유추하면 이해가 가능하다해도 (사실 그마저도 너무 길어지다보니 쉽지 않음) 다른 사람이 볼 땐 가독성이 많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함수선언식으로 가독

    yuli_kim

  • [JS] 이걸 지금봤네 🔨

    7

    velog.io

    [JS] 이걸 지금봤네 🔨

    스크립트 태그 옆의 주석
    <script type="text/javascript"><!--
    ...
    //--></script>
    자바스크립트가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에서 스크립트 코드가 실행되지 않기 위해 설정하는 것이다.
    근 15년간의 브라우저는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가 없다.
    이와 같이 주석이 달린 코드는 매우 오래전 레거시 코드라고 보면

    yuli_kim

  • Javascript에서도 SOLID 원칙이 통할까?

    velog.io

    Javascript에서도 SOLID 원칙이 통할까?

    제가 며칠 전에 클린소프트웨어 책을 보니 SOLID 법칙이 나오던데요, 자바나 C++ 같은 클래스 구조로 객체를 만드는 언어에서는 쉽게 따라해볼 수 있겠는데, 함수 위주로 작성하는 js, ts를 사용하는 프론트엔드에서도 사용이 가능한지, 현업에서 클린 소프트웨어를 만들

    yuli_kim

  •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과정

    velog.io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했을 때 일어나는 과정

    면접에서 나오는 단골 질문이며,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써 주소창에 특정 웹 페이지의 주소를 입력했을 때, 어떤 과정을 통해 데이터가 전달되고, 화면에 렌더링되는지를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이참에 해당 과정 한번 제대로 정리해보기로 마음먹었다. 웹 브라우저

    yuli_kim

  • NodeJS - Express란?

    velog.io

    NodeJS - Express란?

    : JavaScript를 실행시키는 런타임 환경 /   NodeJS 전에는 JS 런타임이 Browser밖에 없었다     \-> NodeJS의 등장으로 JS의 사용범위가 Backend까지 확장! 프로그래밍 언어 / 프레임워크가 아니다!! Single-Thread

    yuli_kim

  • 📚 Browser 브라우저의 동작원리!

    6

    velog.io

    📚 Browser 브라우저의 동작원리!

    브라우저는 어떻게 동작하나요?
    렌더링 엔진
    🕐 브라우저는 서버로부터 HTML, CSS, Javascript, 이미지 파일 등을 응답받습니다.
    🕑 HTML과 CSS 파일은 렌더링 엔진의 HTML 파서와 CSS 파서에 의해 파싱되어 DOM, CSSOM 트리로 변환되고 렌더 트리로 결합됩니다.
    🕒 생성된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브라우저는 웹페이지를 표시합니다

    yuli_kim

  •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란?

    3

    velog.io

    TypeScript 타입스크립트 란?

    TypeScript는 간단하게 말해서 타입을 강제하는 JavaScript라고 할 수 있습니다.

    JavaScript에 대한 지식이 있는 분이 읽는다는 가정하에 작성합니다.
    TypeScript 공식문서의 스펙을 보면서 생각한 차이에 대해 핵심을 정리한 글입니다.

    yuli_kim

  • JS의 객체는 hash table이 아닙니다!

    velog.io

    JS의 객체는 hash table이 아닙니다!

    혹시 알고 있으셨나요? http get으로 받아온 데이터의 타입을 검사하려다가, 결국 자바스크립트 엔진과 ECMA 표준까지 공부하게 되어서 그 결과물을 정리해 공유해봅니다!

    yuli_kim

라이브러리에 저장

좋아하는 강좌들을 수집하고 관리하고 공유하세요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