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네마 4D 스플라인과 제너레이터 (Cinema 4D Spline & Generator)
시네마 4D (Cinema 4D)에서 초록색 오브젝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라색은 디포머 (Deformer)로 오브젝트 변형을 시켜주는 도구였습니다. 초록색은 제너레이터로 (Generator)는 스플라인 (Spline)에 맞춰서 오브젝트를 생성해주는 도구입니다. 시네마 4D 제너레이터 (Cinema 4D Generator)란? 제너레이터 (Genera
Blender 기초 11. 3D 뷰포트 제어하기
3D Viewport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즘은 인터페이스가 많이 좋아져서 대부분 단축키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그래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기즈모(Navigation Gizmo)를 이용해 뷰포트 제어하기 3D Viewport 오른쪽 상단에 뷰포트를 제어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 기즈모(Navigation Gizmo)를 이용하면 간단합니다
Blender 기초 10. 위치, 회전, 크기의 기본값
1. 위치, 회전, 크기의 기본값 처음 블렌더를 켜게 되면 화면 가운데 Cube가 보입니다. 3D 뷰포트의 중심에 있습니다. Sidebar(N 키)를 열어서 Transform에 보면 위치(Location) 값이 0, 회전(Rotation) 값도 0, 크기(Scale) 값은 1로 되어있습니다. 지금 이 상태가 기본값입니다. 이 값에 대해서 이야기하겠습니다.
Blender 기초 9. 기즈모를 이용한 이동, 회전, 크기
단축키를 몰라도 되는 기즈모로 이동, 회전, 크기 변경하기 3D 뷰포트 왼쪽 툴바에 이동(Move), 회전(Rotate), 크기(Scale), 그리고 세가지를 한꺼번에 하는 트랜스폼(Transform) 툴이 있습니다. 이것들 중에 하나를 선택하면 3D 뷰포트에 아래 이미지와 같이 마우스로 조작할 수 있는 툴이 나옵니다. 이것을 간단한 장치를 의미하는 기즈모
Blender 기초 8. 이동, 회전, 크기
오브젝트를 움직이는 방법으로 단축키와 기즈모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먼저 단축키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동, 회전, 크기의 단축키 이동, 회전, 크기의 단축키는 3D 뷰포트 상단에 Object > Transfom 메뉴에서 보시면 알 수 있습니다. G, 이동(Move) :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G 키를 누른 후 마우스를 이동하면 움직입니다.
Blender 기초 7. 선택 방법
이전 글에서 알아본 선택 도구들을 사용해서 조합키(Ctrl, Shift)와 함께 오브젝트들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잠깐 복습! W 키로 바로 선택 툴을 지정할 수 있고, 또 다른 선택 단축키로는 B 키로 박스(Box) 선택, C 키로 원형(Circle) 선택, 그리고 Ctrl 마우스 오른쪽 버튼 드래그로 올가미(Lasso) 선택을 할 수 있다고
Blender 기초 6. 선택 도구
선택 도구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Blender 버전이 2.8로 넘어오면서 새롭게 추가된 것과 기존의 편하게 쓰던 방법이 남아있게 되면서 크게 두가지 정도로 나뉩니다. 바로 단축키와 툴바에 도구로 하는 방법입니다. 대체로 툴바의 박스 선택 도구를 조합키와 사용하면서 추가로 단축키를 사용하는 방법을 쓰는 편이지만 아래 내용을 보시고 편한신것을 사용하시
Blender 기초 5. 헤더(Header)
이부분의 이름을 꼭 알필요는 없지만 위 그림에서 노란박스가 쳐있는 부분을 '헤더(Header)'라고 합니다. 툴의 옵션과 메뉴등이 있는 곳 입니다. Header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면 위와 같이 메뉴가 나오는데 Show Header로 Header를 가릴 수 있습니다. 대부분 일부러 가릴일이 없기때문에 이 메뉴를 거의 쓸일이 없지만 혹시 실수로 했
Blender 기초 4. 시작 화면 바꾸기
블렌더에서 시작 화면을 자신이 편한 상태로 맞춰놓고 계속 그대로 쓰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것을 작업할때마다 맞추는 것보다 기본으로 저장해 놓고 싶을때 'Save Startup File'을 하면 됩니다. 1. 시작 화면으로 저장, Save Startup File 위와 같이 작업 영역을 분할한 것을 시작 화면으로 사용하고 싶을 때는 File > Defaul
Blender 기초 3. 작업 영역 나누기
텍스처 작업이나 애니메이션 작업 하게 되면 작업 영역을 추가하거나 빼서 각 작업에 맞게 맞출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엔 그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블렌더, 작업 영역을 나누고 합치고 바꾸고 1. 작업 영역 크기 조정 각 작업 영역 경계를 드래그 해서 크기 변경할 수 있습니다. 2. 영역 나누기 영역을 넓힐때처럼 경계에 마우스를 놓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릅
Blender 기초 2. 작업 영역의 종류
블렌더 첫 화면에 작업 영역의 이름 안녕하세요:) 오늘은 3D 애니메이션이 만들어지는 블렌더의 작업 영역의 이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전 글을 통해 블렌더를 다운받으시고 처음 실행하면 위와 같이 화면이 나옵니다. 지금 보면 각 기능별로 영역이 나뉘어져 있습니다. 어떤 이름으로 불리는지만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에서처럼 왼쪽 상단에 편집타입(Edit
Blender 기초 1. 블렌더 다운로드 (윈도우 10)
제 1강 블렌더 앱 다운받기 (윈도우 10) 안녕하세요. Remon입니다 :D 앞으로 [Blender 블렌더 기초] 포스팅에서는 3D 소프트웨어 블렌더의 기초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불놀이님과 함께 이 과정을 올리려고 하는데요 저 또한 블렌더 처음 해보기 때문에 초보 입장에서 궁금한 것들을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같이 시작하시는 분들께 많은 도움이 되
시네마 4D 풍선글자 만들기 (Cinema 4D Balloon Text)
2021년도 디자인 트렌드 중 하나가 바로 3D Text로 선정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UX / UI / 그래픽 등 다양한 분야에서 3D의 활용도가 커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2021년도 디자인 트렌드에 맞춰서 이번에는 풍선처럼 부풀어 오르는 시네마 4D 풍선글자 만들기 (Cinema 4D Balloon Text)를 해보고자
시네마 4D 디포머 (Cinema 4D Deformer)
시네마 4D (Cinema 4D)의 인터페이스를 보시면 색상별로 속성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색상에 따라서 비슷한 속성을 갖고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보라색의 메뉴창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보라색의 메뉴창을 바로 디포머 (Deformer)이라고 합니다. 시네마 4D 디포머 (Cinema 4D Deformer)란? 디포머 (De
시네마4D 인터페이스 (Cinema 4D Interface)
시네마4D 인터페이스 (Cinema 4D Interface)는 3D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라면 어렵게 느껴지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직관적이기 때문에 눈에만 조금 익히시면 누구나 쉽고 빠르게 적응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럼 간단히 시네마4D 인터페이스 (Cinema 4D Interface)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사진과 함께
실내건축&건축설계도면그릴때 -재료구조표시기호
실내건축&건축설계시 재료구조표시기호 작도법
주로 사용되는 실내건축설계기호에 대한 설명입니다.
#실내인테리어 #건축설계 #재료구조표시기호
#철근콘크리트 #목재 #벽돌 #유리 #단열재 #블록벽
#실내건축설계 #건축설계기호 #도면기호 #인테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