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WEB7 - Login with Google on Passport.js
이 수업은 Node.js의 인증 라이브러리인 Passport.js를 이용해서 구글로 로그인하기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는 수업입니다.
모든 수업과 예제 코드는 아래 주소에 있습니다.
https://opentutorials.org/module/3677
18
Redux
생활코딩은 일반인에게 프로그래밍을 알려주는 활동입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http://opentutorials.org/course/1 를 방문해주세요.
8
WEB3 - HTTP Cache
이 수업은 웹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은 HTTP Cache 를 다루는 수업입니다.
이 수업은 HTTP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요구합니다. HTTP를 모르시는 분은 HTTP 수업을 먼저 보시고 이 수업을 볼 것을 권해드립니다.
12
React Redux
React와 Redux를 연결해주는 라이브러리인 React Redux를 이용해서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
모든 소스코드와 동영상은 아래 주소에 있습니다.
https://opentutorials.org/module/4518
6
React-Ajax
리액트로 구현한 애플리케이션에서 ajax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을 다루고 있는 수업입니다.
아래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 리액트의 콤포넌트를 초기화 할 때 ajax를 이용하는 방법
- 이벤트에 따라서 콤포넌트를 업데이트하는 방법
- 리액트 콤포넌트의 재사용성을 높이는 방법
- 로딩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의 구현법
9
Login with Facebook on Passport
회원정보를 보관하는 것은 회원입장에선 불편하고, 서비스 입장에선 부담되는 일입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페이스북이나 구글과 같은 기업들이 로그인 연동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Federated Identity라고 합니다. Passport.js를 이용하면 이를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그 방법을 알아봅니다.
6
FaceBook API 사용하기
이 서비스는 페이스북의 댓글 이벤트를 하는 분들을 위해서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댓글의 양이 많아지는 경우 랜덤하게 추첨을 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생활코딩 페이스북 그룹의 공익이벤트를 진행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을 좀 더 많은 분들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입니다.
4
MERN(MongoDB Express React Node)를 사용한 Full Stack 로그인 웹 만들기
MERN(MongoDB Express React Node)를 사용한 Full Stack 로그인 웹 만들기
22
WEB3-Express
이 수업은 Node.js의 대표 웹프래임워크인 Express를 이용해서 웹애플리케이션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한 수업입니다.
6
생활코딩 암호학1
암호라는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암호라는 도구를 이용하는 것은 어렵지 않습니다.
암호의 탐구자가 아니라 암호의 사용자가 우선 될 수 있도록
수학, 코딩, 원리 등의 내용을 철저하게 배제했습니다
3
암호화
암호화를 이용해서 비밀정보를 공개적으로 받은 사례를 살펴봅니다. 이 과정에서 암호화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고, 암호화를 현실에 적용한 사례로서 참고해보셨으면 합니다.
6
youtube 재생목록을 구글스프래드쉬트에 넣기 1
듣는 것에 어려움이 있는 분들을 위해서 유튜브 동영상에 자막을 입히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영상의 수가 많기 때문에 혼자서 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았고
참여자들이 질서정연하게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 구글 스프레드쉬트에 작업 진행목록을 만들어야 했는데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목록을 프로그래밍적으로 생성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봤습니다.
10
웹 페이지에서 공부한 단어의 수를 세기
최근의 웹브라우저들은 대부분 개발자 도구를 제공합니다. 이것을 이용하면 웹페이지의 소비자도 분석작업을 비롯한 여러가지 일을 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이것을 이용해 자신이 쓰기 위한 간단한 프로그램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해드립니다.이렇게 만들어진 개인적 프로그램을 구글 확장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서 누구나 사용할수있는 프로그램으로 승화시키는 방법도 함께 알아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