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이펙트 액체 효과 (After Effects Liquid / Mercury)
애프터 이펙트에서 유동적이거나 형태의 변동이 심한 것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가 어렵습니다. 그 중 하나가 액체인 것 같습니다. 액체라는 효과는 매우 어려워 보이지만, 간단하게 애프터 이펙트에 있는 효과를 잘 숙지한다면, 자신이 원하는 모양으로 액체가 흐르거나, 튀는 듯한 모션이 가능합니다. 그러한 모션 효과를 줄 수 있는 이펙트 중 하나가 Mercury (수
2023년 이후의 반응형 디자인 가이드
오늘날 유동적인 레이아웃 구축에 대해 생각할 때 더 이상 고정 너비 중단점을 갖는 것이 아닙니다. 대신 오늘날 우리가 구축하는 레이아웃은 거의 모든 장치 크기에서 작동해야 합니다. 놀랍게도 웹사이트는 여전히 적응형 디자인 패턴을 따르고 있으며, 여기에는 max-width뷰포트 너비에 따라 새로운 값을 가져오는 컨테이너가 있습니다.
"반응형"이라는 용어는
16
[브런치북] 마케터의 무기들
인사팀에서 시작한 첫 커리어. 하루 아침에 실전 마케팅을 1도 모르는 중고 마케터가 되어 글로벌 TOP 컴퍼니를 거쳐 700명짜리 회사의 마케팅 총괄 디렉터가 된 비결은? 바로 나만의 무기를 가지고 싸워 하나씩 성장하며 살아남은 것! 그 무기는 뭐였을까? 그 무기로 어떻게 싸워야 할까? 마케터를 꿈꾸는 예비 마케터부터, 성장을 갈망하는 현직 마케터, 더 나
[유튜브 광고는 블링에게 물어봐] 패러디 마케팅 : 재해석이 주는 재미 (Feat. 삼성 iD카드 광고) -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유튜브 광고는 블링에게 물어봐] 패러디 마케팅 : 재해석이 주는 재미 (Feat. 삼성 iD카드 광고) - 마케팅 모비인사이드 MOBIINSIDE
ChatGPT, 개발의 새로운 장을 여네요 (무료일 때 꼭 경험해보세요)
#chatgpt
최근에 발표된 ChatGPT, 막상 써보니 정말 놀랍네요!! 😲 개발과 관련 없는 주제로도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으니, 유료화 되기 전에 꼭 한번 경험해보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
맨땅에서 성공하는 그 전략, 린 스타트업
[하루만에 0에서 100을 만드는 전략] 린 스타트업 편 | 주마다 하나씩 앱을 론칭한다면? 생각만 해도 온몸이 갈리는 느낌이 들어요. 정보 큐레이션 서비스 라이너(LINER)를 제작한 아우름플래닛은 한 주에 하나씩 서비스를 만들어 라이너를 만들어 냈는데요. 이번 게시글에서는 라이너가 선택한 1주 1 앱 전략과 맞닿아있는, 린 방법론과 린 스타트업에 대
2023년에 모든 개발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8가지 오픈 소스 기반 개발 툴
이제 2023년에 여러분이 사용할 만한 최고의 오픈 소스 기반 개발 도구를 리뷰할 것입니다.
우량 고객을 키우는 MQL이란?
마케팅과 영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MQL의 개념을 바탕으로 영업 프로세스를 재점검하면 마케팅과 영업의 연계를 높여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MQL의 대해 알아보세요.
MQL과 비슷한 말로 SQL이란 개념도 있습니다. 이 두 가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MQL (Marketing Qualified Lead)는 리드 중에서도 마케팅 부서에 의해
Marketing Qualified Lead (MQL)의 정의 | Digital Marketing Curation
이들은 관심과 호기심을 느끼고 있지만, 아직 구매 단계까지는 나아가지 않은 상황입니다. 그러나 그들은 다른 평범한 리드들보다는 세일즈 메시지에 대해서는 더 잘 받아들이는 편입니다. 전체 고객 여정을 생각해본다면, 아직 구매 전환을 위한 대화를 시작하지 않았다면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제출할 일은 없을 것입니다. MQL은 브랜드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관심을 가지
주니어 개발자를 위한 엄청 쉬운 네트워크 이야기 | 요즘IT
저는 5년차 개발자입니다. 회사에서 신입 개발자들과 함께 일하다 보면 네트워크에 관해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저도 사실 처음에는 그랬습니다. 그런데 일을 하다 보니 주니어 개발자가 더 성장해 중니어 이상으로 도약하려면 네트워크 지식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그래서 이번 글에서는 우선 주니어 개발자가 네트워크를 알아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사용자를 화나게 만드는 ‘UX 라이팅’의 함정 | 요즘IT
누구나 한 번쯤 서비스나 멤버십을 해지해 본 경험이 있을 텐데요. 이때 간편했던 가입 절차에 비해, 해지 절차는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해서 불편할 때가 있습니다. 혜택을 강조하며 가입을 유도하던 처음과 달리 해지 과정에서는 사용자가 ‘놓칠 혜택’을 강조하며, 사용자와 밀당합니다. “해지하면 즉시 모든 혜택이 사라지는데, 진짜 포기하실 건가요?”라는 물음 앞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