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코드 하나를 작성하는데 몇 시간을 들인 경험을 했다.
서비스 로직 만큼 중요한 것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 것이라고는 하나, 실제 로직을 작성하는 것보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데 더 많은 시간이 드는 것(...)은 배보다 배꼽이 큰 격 아닌가?
테스트 코드 작성 방식을 익히고, 같은 부분을 또다시 삽질하지 않도록 기록으로 남긴다.
정적 다이어그램 : 클래스, 객체 데이터구조와 이것들의 관계를 그림으로 표현해서 소프트웨어 요소에서 변하지 않는 논리적 구조를 보여준다.
동적 다이어그램 : 실행 흐름을 그림을 그리거라 실체의 상태가 어떻게 바뀌는지 그림으로 표현해서 소프트웨어 안의 실체가 실행 도중 어떻게 변하는지 보여준다.
물리적 다이어그
함수형 & 클래스형 컴포넌트
리액트에서 컴포넌트 생성 방식은 클래스형, 함수형 2가지로 나뉜다. 리액트 초기 클래스형의 컴포넌트만 지원되다 리액트 16.8 버전이후 Hooks이란 이름으로 함수형 컴포넌트 생성방식이 정식 채용되었고, 가벼움 & 단순하진 문법(this.state...this.props...의 굴레)으로 클래스형 보다 더 많은 사랑을 받는 중이
Styled Components?
CSS나 SASS같이 class, id, tag name를 가져와 쓰지 않고, 스타일 지정된 컴포넌트 생성하여 Tag 쓰듯 스타일컴포넌트를 쓰는 것을 말한다. 즉, 리액트에서 ui단위를 나누어 컴포넌트화 하듯, 스타일을 컴포넌트화 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며 전역에서 중첩 사용되지 않게 (컴포넌트 자체에서만 적용됨) 만들어준다.
테이블 뷰란?
리스트 형태를 지니고 있어 스크롤이 가능해 많은 정보를 보여 줄 수 있습니다.
테이블 뷰 기본 형태
하나의 열, 여러줄의 행 수직으로만 스크롤 가능하다
각 행은 하나의 셀에 대응한다
섹션을 이용해 행을 시각적으로 나눌 수 있다.
헤더와 푸터에 이미지나 텍스트를 추가해 추가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