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닫기
필터

  • 왜 슬랙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가?

    relate.kr

    왜 슬랙은 생산성을 저하시키는가?

    슬랙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평균 5분마다 한 번씩 커뮤니케이션 앱을 확인한다고 한다.

    GwonYeong

  • 브랜드를 사랑하는 각자만의 방식에 대하여

    brunch.co.kr

    브랜드를 사랑하는 각자만의 방식에 대하여

    KBTD  |  BX Strategist, BX Lead Designer | 0 시작하며 그간의 글들에서 기술적인 이야기나 전반적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야기들을 했다면 이번 글에서는 PlusX의 BX기획자와 BX책임디자이너가 묻고 답하기의 형식으로 PlusX 구성원들이 실천하는 ‘브랜드를 사랑하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영화를 사랑하는 첫 번째 방법은 같은 영화를 여러 번 보고, 두 번째 방법은 영화에 대한 글을 쓰는

    GwonYeong

  • 보이지 않는 노력들

    brunch.co.kr

    보이지 않는 노력들

    author - squirrelook│BX 디자이너 | 필자는 플러스엑스에 입사한 지 3년 차 디자이너이다. 대학생 시절, 플러스엑스를 비롯하여 다양한 에이전시들의 결과물을 접하였을 때 “어떠한 논리와 컨셉, 방식으로 작업을 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며 열심히 친구와 의견을 주고받던 시절이 있었다. 좋다고 느꼈던 프로세스의 흐름들을 내가 진행하는 작업에 대입하여 풀어보았지만, 내 작업 과정에 그 프로세스의 흐

    GwonYeong

  • 당연한 걸 반복해야 문화가 바뀐다

    brunch.co.kr

    당연한 걸 반복해야 문화가 바뀐다

    다들 기업 문화를 외칩니다. 그럴듯한 구호를 내세우거나 파격적인 복지를 소개하기도 하고, 문화 쇄신 목적의 대규모 행사를 열기도 합니다. 좋은 문화가 자리잡힌 회사가 경쟁우위에 설 수 있다는 인식이 이러한 행보를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변하는 회사는 많지 않습니다. 선진 기업문화를 만들겠다고 선포를 해도, 관련 세션을 열어도 정말 분위기가 바뀌는 사

    GwonYeong

  • 플랫폼이 뭘까? 우리 회사도 할 수 있을까?

    brunch.co.kr

    플랫폼이 뭘까? 우리 회사도 할 수 있을까?

    요즘 ‘플랫폼’처럼 흔한 단어도 없지만, 원래 단어란 게 많이 쓰일수록 뜻은 더 모호해지는 느낌입니다 (사랑, 행복, 인간..?!) 개인적으로는 플랫폼에 대해 가장 명쾌한 정의를 내려줬다고 생각되는 책은 ‘플랫폼 레볼루션‘이었습니다. 여전히 플랫폼에 대해서는 거의 바이블로 남아 있는 책이 아닐까 싶어요. 이 책에서 ‘플랫폼’에 대한 설명한 내용에서 주목할

    GwonYeong

  • 자유도 높은 영국의 업무 방식

    brunch.co.kr

    자유도 높은 영국의 업무 방식

    영국에선 점심도 일도 자유롭게 영국 회사의 점심시간 한국에서 직장 생활을 할 때는 정해진 점심시간이 되면 사람들이 동시에 우르르 몰려 나가곤 했다. 점심을 먹으러 나가기 위해 엘리베이터 앞에 길게 줄을 서서 기다리는 사람들을 보며 생각했다. ‘5분만 더 일찍 나가면 줄을 안 서도 될 텐데 왜 다들 같은 시간에 나갈까?’ 하지만 나도 어느새 그들과 함께

    GwonYeong

  • 카톡만 있으면 다른 서비스 로그인이 가능한 이유

    brunch.co.kr

    카톡만 있으면 다른 서비스 로그인이 가능한 이유

    인증을 통합하는 SSO, 데이터 통신을 보안하는 SSL 서비스를 만들고 유지하는 데에 근.본.들이 있겠지만 근본 of 근본은 “인증“이라고 생각한다. 서비스의 사용자가 단 한 명이라도 생기는 순간 인증은 없으려야 없을 수 없는 기능이 된다. 그치만… 쪼렙기획자인 나는 모르는 단어들이 여기저기 난무하는 인증이 제일 어렵고, 누가 봐도 차가워 보이는 교

    GwonYeong

  • Do Not Disturb 모드 더 잘 쓰기

    relate.kr

    Do Not Disturb 모드 더 잘 쓰기

    간단하지만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쉽고 좋은 방법은 알림을 더 잘 관리하는 것이다.

    GwonYeong

  • B2B SaaS에서 세일즈보다 고객서비스가 더 중요한 이유

    relate.kr

    B2B SaaS에서 세일즈보다 고객서비스가 더 중요한 이유

    우리는 고객서비스가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의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고객서비스는 그저 고객 문의에 대응하는 일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만들어 고객의 니즈를 충족해주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GwonYeong

  • 10주 안에 100명의 고객과 대화하기

    relate.kr

    10주 안에 100명의 고객과 대화하기

    100명의 고객을 찾고, 만나서 고객을 더 이해하고, 고객이 가진 문제를 정의하고, 우리가 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게 하기

    GwonYeong

  • 마이크로카피 ROI

    brunch.co.kr

    마이크로카피 ROI

    FROM 2022 UX WORDS SALON 테크 업계 라이터를 위한 온라인 컨퍼런스 UX Salon WORDS가 올해 3월에 열렸다. 좋은 컨퍼런스나 교육 프로그램이 상당수 온라인으로 전환되고, 많은 경우 녹화본까지 제공되니 코로나가 남긴 큰 기쁨이 아닐 수 없다. 실무자들이 연구하고, 적용하고, 공유하는 문화가 참 좋다. 덕분에 이번에도 많이

    GwonYeong

  • 비대면 모바일 세탁소, 세탁특공대 앱 이용 후기

    brunch.co.kr

    비대면 모바일 세탁소, 세탁특공대 앱 이용 후기

    옷장을 열어보았다. ‘이사하면 드라이해서 입어야지’ 하고 묵혀둔 겉옷이 꽤 있었다. ‘이 또한 돈이 들 수밖에 없겠구나…’ 싶은 마음에도 아깝지만 어쩔 수 없이 주변 세탁소를 찾아보기로 했다. 가장 가까운 곳이 걸어서 30분 거리였다. 그러고 보니 요즘 동네에서 세탁소를 잘 못 본 것 같기도 하다. ‘하 이걸 어쩌나~’ 싶은 마음으로 다시 며칠을 아무 생각

    GwonYeong

  • 대세가 된 이직! 퇴사 면담이 중요한 이유

    brunch.co.kr

    대세가 된 이직! 퇴사 면담이 중요한 이유

    바야흐로 ‘대 이직의 시대’입니다. 평생직장이라는 개념은 구시대의 유물이 돼 버렸죠. 직장인 10명 중 8명이 이직을 고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그중 절반은 현재 이직을 준비하고 있지는 않지만, 좋은 기회가 온다면 언제든 이직할 의사가 있다고 밝혔는데요. 이직이 활발해질수록 회사는 인재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좋은 인재를

    GwonYeong

  • 엄청난 인사이트는 피라미드의 꼭대기 같은 겁니다

    brunch.co.kr

    엄청난 인사이트는 피라미드의 꼭대기 같은 겁니다

    작은 사실과 인사이트를 쌓아야 큰 인사이트가 나와요 얼마 전, SQL로 쿼리문을 작성하다가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아 골치가 아팠던 적이 있다. 쿼리문 작성을 멈추고 잠시 생각해보니, 처음부터 너무 고난도의 쿼리문을 작성하려 한 것이 원인이었다(사실 전공자들에게는 쉬운 쿼리문이겠지만, 비전공자 입장에서는 서브쿼리까지 써버리면 난이도가 급격하게 높아진다

    GwonYeong

  • 쿠폰을 기획할 때 기억해야할 5가지

    brunch.co.kr

    쿠폰을 기획할 때 기억해야할 5가지

    돈과 관련된 정책은 전쟁이다- | 이커머스에서 너무나 쉽게 접근하지만 막상 기획해보면 굉장히 어려운 부분이 있다. 돈을 다루는 쿠폰 시스템이다. 마케팅 도구처럼 보이겠지만 그런 정신으로 기획에 손을 댔다간 못할 뿐아니라 회사 수익에 해를 끼칠 수 있다. 간단히 쿠폰시스템을 위해 생각해봐야할 항목들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한다. 어차피 기획은 경우의 수의 선택이고 시스템 구조보다 정책이

    GwonYeong

  • 10% 할인VS1000원 할인, 무엇이 더 큰 혜택일까

    brunch.co.kr

    10% 할인VS1000원 할인, 무엇이 더 큰 혜택일까

    혹시 할인 쿠폰을 기획해본 적 있어? 보통 새로운 고객을 구매까지 유인하거나, 이탈한 고객을 다시 활성화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할인 쿠폰’이잖아.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마케팅 방법이지만, 막상 제대로 기획해보면 고민해야 할 부분이 한두 가지가 아니더라고. 예를 들어, 정액 할인 쿠폰이 좋을지, 할인율 쿠폰이 좋을지… 같은 소소한 고민

    GwonYeong

라이브러리에 저장

좋아하는 강좌들을 수집하고 관리하고 공유하세요

닫기